무면허 의료 행위의 덫: 70대, 실형 선고
제주지법 형사2단독(배구민 판사)은 보건범죄 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위반(부정의료업자) 등 혐의로 구속기소된 70대 A씨에게 징역 2년 4개월과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다. 2022년부터 최근까지 제주와 서울, 부산, 대구 등을 돌며 치매, 암 환자 120여명에게 불법 시술을 한 혐의다. 2240만원의 추징도 명령했다. 이는 의료 면허 없이 행해진 불법 의료 행위에 대한 법원의 엄중한 경고로 해석된다. A씨는 환자들에게 “평생 병을 못 고치던 사람도 내가 전부 고칠 수 있다”거나 “불치병이란 없다”는 등 말로 환자들을 속여 시술을 강행했다.
방조 혐의 70대, 집행유예 1년 선고
A씨의 범행을 방조한 혐의로 기소된 B(70대)씨에게는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 벌금 50만원이 선고됐다. B씨는 A씨의 불법 의료 행위를 돕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법원은 그 책임을 물어 징역형을 선고했다. B씨는 행정 업무를 처리하며 A씨의 범행을 도왔다. 이는 불법 의료 행위가 개인의 일탈을 넘어 조직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장침의 공포: 48cm 침, 환자들의 고통
A씨는 시술 중 침을 꽂아두고 환자를 돌려보내거나 한의원에서는 쓰지 않는 48㎝의 장침을 사용해 환자들에게 복통, 혈액 염증 등 부작용을 유발한 혐의도 있다. A씨는 환자들에게 1회당 5만원가량을 받았다. A씨는 옷 위로 10~30개의 침을 꽂아두고 환자가 직접 이를 빼도록 했다. 이처럼 무면허 의료 시술은 환자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안겨주는 심각한 범죄 행위다.
불법 의료 행위의 덫: 환자들을 속인 말들
A씨는 환자들에게 “평생 병을 못 고치던 사람도 내가 전부 고칠 수 있다”거나 “불치병이란 없다”는 등 말로 환자들을 속였다. A씨는 환자들에게 불법 시술을 받도록 유도하여 환자들의 절망적인 심리를 이용했다. 이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금전적,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 이 사건은 불법 의료 행위가 얼마나 교묘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이다.
반복되는 범죄: 의료법 위반 전력에도 범행 지속
그는 의료법 위반 혐의로 처벌받은 전력이 몇 차례 있었음에도 또다시 범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A씨가 자신의 범죄 행위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했음을 보여준다. 재판부는 “A씨가 동종전력이 여러 차례인 점, B씨는 처벌 전력이 없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불법 의료 행위는 재발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예방책 마련이 시급하다.
핵심 요약: 불법 의료 시술, 그 위험한 그림자
70대 A씨가 무면허로 120여 명의 환자에게 불법 침 시술을 해 실형을 선고받았다. 48cm 장침 사용, 부작용 유발, 환자 기만 등의 행위가 드러났다. 반복되는 범죄, 방조 혐의, 그리고 환자들의 고통은 불법 의료 행위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이 사건은 의료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불법 의료 행위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예방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A씨는 어떤 혐의로 기소되었나요?
A.보건범죄 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위반(부정의료업자) 등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Q.A씨는 어떤 처벌을 받았나요?
A.징역 2년 4개월과 벌금 500만원, 2240만원 추징 명령을 받았습니다.
Q.A씨의 범행을 방조한 B씨는 어떤 처벌을 받았나요?
A.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 벌금 50만원을 선고받았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심 주가, '케데헌'과 '제니 효과'에 날개…넥스트 삼양식품 될까? (2) | 2025.08.30 |
---|---|
충격! 유기견 보호소의 검은 그림자: 나랏돈 빼먹기 위해 자행된 꼼수 (2) | 2025.08.29 |
서해의 '오징어 풍년', 기후 변화가 바꾼 어장의 비밀 (1) | 2025.08.29 |
루이비통 뷰티, 럭셔리 끝판왕? 샤넬·디올보다 비싼 이유 (4) | 2025.08.29 |
임은정 검사장, 정성호 장관마저 장악됐다고 비판… 검찰개혁, 어디로 가야 할까? (2)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