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160일간의 캄보디아 감금: 고문과 공포 속에서 구조된 두 한국인

AI제니 2025. 10. 11. 20:22
반응형

캄보디아 감금, 끔찍한 현실의 시작

캄보디아에서 고문과 감금을 당하며 범죄에 가담했던 한국인 2명이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도움으로 현지에서 구조됐다. 1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2일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의 한 호텔에 감금됐던 한국 국적 남성 A씨와 B씨가 박 의원실의 도움으로 빠져나왔다.

 

 

 

 

달콤한 제안, 캄보디아로 향한 절망의 시작

A씨는 IT 관련 업무를 하면 월 800만원에서 1500만원의 고수익을 보장하고 1인 1실 호텔 숙소와 식사를 제공한다는 온라인 구인 글을 보고 캄보디아로 향했다. 처음에는 믿음이 안 갔지만 텔레그램으로 대화를 해보니 비행기 티켓을 끊어준다고 해 ‘갔다가 아니면 다시 돌아오면 되지’라는 생각으로 떠난 길이었다.

 

 

 

 

공포의 그림자: 보이스피싱 강요와 고문의 시작

막상 캄보디아에 도착하니 회사는 공무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을 시키는 범죄단지(웬치)였다범죄에 가담하지 않으면 온종일 고문을 하겠다는 협박이 이어졌다A씨는 “보이스피싱 회사라고 듣고 온 것이 아니니 일을 못 하겠다고 하자 조선족이 전기충격기를 들고 와 대본을 주며 ‘하지 않으면 매일같이 고문당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회고했다.

 

 

 

 

탈출 시도와 좌절, 더욱 깊어지는 고통

처음에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라고 생각해 말다툼을 했다. 그러자 이들은 A씨를 범죄단지 안에 대기시켰고, 다시 한국으로 데려다주겠다며 짐을 싸서 차에 타라고 말했다. 차를 타고 도착한 곳은 공항이 아닌 캄보디아 포이펫의 또 다른 범죄단지였다. 그는 이곳에서 100여일간 가혹한 폭행이 이어졌다고 회상했다. 도착하자마자 짐을 빼앗겼고, 수갑을 찬 채로 쇠파이프와 전기충격기 등으로 구타당했다. 기절하면 얼굴에 물을 뿌리고 전기 충격을 가해 정신을 차리게 한 뒤 다시금 폭행했다.

 

 

 

 

희망의 끈, 텔레그램 구조 요청과 160일간의 감금

가혹한 시간을 보내던 중 A씨와 같이 방을 쓰던 B씨가 텔레그램으로 구조 요청을 보냈다. 그 덕에 현지 경찰이 한 차례 범죄단지에 찾아왔지만, 신고 사실이 발각돼 탈출이 무산됐다. 두 사람은 머리에 봉지가 씌워진 채 차량 트렁크에 넣어져 시아누크빌로 보내졌다. 위치가 발각됐으니 거점을 옮겨야 한다는 중국인 관리자의 판단이었다. 그곳에서도 일할 때는 발목에, 일하지 않는 시간에는 침대에 수갑으로 묶인 채 감금됐다.

 

 

 

 

구조의 순간, 끝나지 않은 고통

기지를 발휘한 A씨가 구조 요청을 하면서 현지 경찰이 두 사람이 머물던 호텔에 찾아왔고, 이들을 감시하던 중국인과 조선족에게 수갑을 채우면서 마침내 160여일간의 감금 생활이 끝났다. A씨와 B씨는 구조된 뒤 캄보디아 경찰의 조사를 받으며 귀국을 준비 중이다. A씨는 캄보디아 범죄단지에 갇혀있을 당시 바로 옆 방에도 한국인 3명이 있었다며 아직도 많은 한국인이 구조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캄보디아 감금 사건, 한국인 피해자들의 고통과 구조 과정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감금 사건은 고수익을 미끼로 한 취업 사기로 시작되어, 160여 일간의 끔찍한 고문과 감금으로 이어졌다. 박찬대 의원의 도움으로 극적으로 구조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한국인이 고통 속에 놓여있다는 사실은 재외국민 보호 시스템의 강화를 절실히 요구한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피해자들이 캄보디아로 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A.고수익을 보장하는 IT 관련 일자리를 구한다는 온라인 광고에 속아 캄보디아로 갔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하도록 강요받았습니다.

 

Q.구조 과정에서 박찬대 의원의 역할은 무엇이었나요?

A.B씨의 어머니로부터 도움을 요청받은 박찬대 의원실은 외교부, 영사관 등과 소통하여 두 사람의 구조를 도왔습니다.

 

Q.캄보디아에서 한국인 피해가 심각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올해 1월부터 8월까지 330건의 취업 사기 후 감금 신고가 접수될 정도로 피해가 심각합니다. 재외공관의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인해 재외국민 보호 체계 강화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