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폐점, '긴급 생존' 뒤에 가려진 그림자: 직원과 상인들의 절규
예상치 못한 폐점 통보, 직원들의 불안감 증폭
지난달 13일, 홈플러스 원천점에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긴급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지역 본부장의 갑작스러운 소집은 불안감을 고조시켰습니다. 설명회는 회사의 경영난과 매출 감소를 언급하며, 11월 16일 원천점 영업 종료를 결정했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전했습니다.
15개 점포 폐점, '긴급 생존'의 그림자
홈플러스는 '긴급 생존 경영' 체제 돌입과 함께, 수원 원천점을 포함한 15개 점포의 폐점을 결정했습니다. 이는 과도한 임대료로 인한 적자 누적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이로 인해 전체 점포의 12%가 문을 닫게 되었습니다.
고용 보장에도 드리운 불안감
홈플러스는 폐점에도 고용을 보장하며, 인근 점포로의 발령과 위로금 지급을 약속했습니다. 퇴직 직원에게는 퇴직금 외 고용안정지원금도 지급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직원들의 불안감은 쉽게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출퇴근의 어려움과 빠듯한 살림살이
인천 계산점 직원 A 씨는 다른 점포로의 이동을 생각했지만, 1시간이 넘는 출퇴근 시간과 교통비 부담에 직면했습니다. 특히, 50대 이상 여성 직원들은 이러한 어려움에 더욱 깊이 공감하며,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상인들의 절망, 보상 없는 날벼락
폐점은 입점 상인들에게 더욱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대부분 직원보다 늦게 폐점 통보를 받았으며, 갑작스러운 통보에 허탈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매출 감소와 더불어, 다른 점포로 이동할 기회조차 얻지 못해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불공정한 보상과 좁아지는 출구
홈플러스는 상인들과 개별 보상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지만, 회생 절차 중인 기업의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터무니없는 보상안과 계약 갱신 요구권의 제약은 상인들에게 더욱 절망감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핵심 요약: 홈플러스 폐점 사태, 생존을 위한 몸부림과 그 뒤에 가려진 고통
홈플러스의 15개 점포 폐점은 기업의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 그 과정에서 직원과 상인들은 갑작스러운 일자리 상실과 생존의 위협에 직면했습니다. 고용 보장과 보상안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어려움과 불공정한 조건들은 이들의 고통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폐점 이후, 직원들의 고용은 어떻게 보장되나요?
A.홈플러스는 폐점 후에도 고용을 보장하며, 인근 점포로의 발령과 위로금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퇴직하는 직원에게는 퇴직금 외 고용안정지원금도 지급됩니다.
Q.입점 상인들은 어떤 보상을 받을 수 있나요?
A.홈플러스는 상인들과 개별 보상 협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회생 절차 중인 기업의 현실로 인해, 상인들은 충분한 보상을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Q.이번 사태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무엇인가요?
A.마트노조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하며, MBK에 대한 조사와 제재, 정부 주도의 M&A 추진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대통령 면담을 요구하며 사태 해결을 촉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