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관광객 1700명, 한국으로! 면세점·유통가 '들썩'
중국 단체관광 재개, 유통가의 설렘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이 허용된 29일. 서울 소공동 롯데면세점 명동점은 오후 3시부터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북적였다. 이날 중국 톈진에서 출발한 크루즈 ‘드림호’를 타고 온 중국인 단체관광객 1700여 명이 롯데면세점에 들러 쇼핑에 나섰기 때문이다.
쇼핑 열기, 면세점과 패션 브랜드
나이가 지긋한 관광객들은 한국산 홍삼·비타민 등 건강기능식품을 두 손 가득 담았다. 3040세대 관광객은 중국에서 인기가 높은 ‘MLB’ ‘젠틀몬스터’ 등 패션 브랜드 매장과 한국산 화장품 판매대로 향했다.
K뷰티에 대한 뜨거운 관심
한국에 처음 왔다는 링체 씨(37)는 “경복궁과 명동에 들른 뒤 한국산 화장품을 사러 면세점에 왔다”며 “평소 K뷰티 브랜드에 관심이 높아 다양한 제품을 둘러보고 있다”고 말했다.
면세점의 적극적인 유치 전략
면세점업계는 중국 단체관광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번 조치가 실적 부진을 만회할 ‘단비’가 될 수 있어서다. 롯데면세점은 비자 발급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중국 2·3선 도시를 중심으로 단체관광객 유치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신라면세점도 중국 현지 사무소, 여행사들과 협업해 단체관광객 집객에 나섰다.
다양한 유통 채널의 손님맞이
최근 ‘한국 관광 필수 코스’로 떠오른 CJ올리브영, 다이소, 무신사, 편의점 등도 중국인 관광객이 선호하는 제품을 대폭 늘렸다. CJ올리브영은 명동 홍대 강남 등 주요 상권 재고를 대거 확충했다.
편의점, 백화점의 특별한 준비
GS25와 CU는 각각 위챗페이, 알리페이와 연동한 할인 행사를 한다. 특화 매장도 운영한다. GS25는 인사동, 강남 등 8개 점포를 ‘케이팝 데몬 헌터스’ 특화 매장으로 꾸미고 협업 상품 판매에 나섰다. CU는 명동역점을 K푸드 특화 매장으로 운영한다.
중국 관광객 유치에 대한 기대감
유통업계에선 이번 무비자 입국 정책과 정부의 방한 관광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내년 6월까지 중국인 관광객 100만 명 정도가 한국을 찾을 것으로 본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특히 중국 국경절 연휴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고 말했다.
자주 묻는 질문
Q.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이 유통가에 미치는 영향은?
A.면세점과 유통업계는 중국 단체관광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습니다. 특히, 면세점, 화장품, 패션, 편의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인 관광객을 위한 마케팅과 프로모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Q.중국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한국 상품은 무엇인가요?
A.한국산 건강기능식품, K뷰티 브랜드 화장품, MLB, 젠틀몬스터 등 패션 브랜드, K푸드 등이 인기가 높습니다. 특히, 면세점에서는 다양한 할인 행사와 프로모션을 통해 중국 관광객들의 쇼핑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Q.앞으로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한 유통업계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A.롯데면세점은 비자 발급이 어려운 중국 2·3선 도시를 중심으로 단체관광객 유치에 집중할 계획이며, 신라면세점은 중국 현지 사무소 및 여행사들과 협업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CJ올리브영, 다이소, 무신사, 편의점 등은 중국인 관광객이 선호하는 제품을 늘리고, 할인 행사 및 특화 매장 운영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계획입니다.